V2V 클리닝 작업
- window
1. vcenter converter 삭제
2. set devmgr_show_nonpresent_devices=1 후 devmgmt.msc 숨겨진 디바이스 삭제
3. vmware tools 업그레이드
4. 정품인증 미확인 시 외부망과 통신 가능한 ip로 인증받고 네트워크 원복
- Linux
1. 부팅 확인
2. df -h , /etc/fstab, ifconfig 확인 후 네트워크 스왑
3. 콘솔 안 열릴시 비디오 메모리 8 MB 인지 확인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P2V 클리닝 작업
- window
1. vcenter converter 삭제
2. set devmgr_show_nonpresent_devices=1 후 devmgmt.msc 숨겨진 디바이스 삭제
3. diskmgmt.msc 명령어로 CD/DVD 이니셜 Z로 변환 및 D드라이브 온라인
3. vmware tools 업그레이드
4. 정품인증 미확인 시 외부망과 통신 가능한 ip로 인증받고 네트워크 원복
- Linux
1. P2V 진행 시 nic 1개로 잡기. / 및 swap은 virtual disk1로 move up
2. 완료 후 네트워크 확인. Tools는 자동 설치되는듯
3. ifconfig -a 로 해서 활성화된 포트에 ip가 안들어가있다면 아래 단계 진행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Linux P2V 후 네트워크 up 이슈 발생 조치 (Linux 7.x 이상)
1. ifconfig -a 명령어로 사용 가능한 ens 확인
2. cd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
3. sources machine ip 들어있는 eno 찾기
4. eno 정보 복사 후 주석처리, 확인했던 ens 내용에 복붙
내용은 아래 확인
BOOTPROTO=none 또는 static (기본으로 적혀있는 값 그대로 가면 됨)
IPADDR=
NETMASK=
GATEWAY=
ONBOOT=yes
5. wq 후 systemctl restart network
또는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
6. 안쓰는 eno들은 삭제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Linux P2V 후 bonding 해제 필요한 경우
1. ifconfig bond0 down
2. rmmod bonding
3. vi bond0 -> DEVICE=eth0, Type=Ethernet, 맨 아래 Bond 줄은 삭제
4. mv ifcfg-bond0 ifcfg-eth0
5. 나머지 어댑터 삭제
5. reboot
6. 물리서버 shutdown 후 VM 설정편집에서 네트워크 연결
7. vi /etc/ssh/sshd_config 에서 PermitRootLogin no 설정
8. systemctl restart sshd.service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Window V2V 또는 P2V 이후 IIS 서비스 기동 불가 문제
-> IIS Admin 시작 불가로 source machine의 C:\Documents and Settings\All Users\Application Data\Microsoft\Crypto\RSA\MachineKeys 의 특정 파일을 그대로 가져다 써야한다.
https://cloudblue.freshdesk.com/support/solutions/articles/44001884676-iis-cannot-start-the-iis-admin-service-service-terminated-with-service-specific-error-2148073478-0
-> IIS 재설치 또는 인증서 재설치 해야함
-> 해당 서버 담당자가 진행 필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Linux V2V 시 Source Machine이 LVM 구성으로 돼있어 컨버팅 후 error loading operating system 에러
-> 컨버팅 할때 Destination Layout에서 하나의 Virtual Disk안에 /boot, /, swap과 그 외의 모든 디렉토리를 통으로 넣고 LVG 상태로 넘긴다 (To Basic 버튼으로 넘겨도 되긴하지만 LVM 구성이 풀어짐)
-> 아니면 Disk 구성 전혀 건드리지 않고 컨버팅 진행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Linux P2V or V2V 시 3% 에서 Network unreachable network error, host key can't be retrieved 에러
-> 방화벽 포트 문제. 양방향으로 열려있는지 확인해야함
-> 문제 대역에 대한 양방향 포트 오픈되어있는 여분 ip 1개가 남아 해당 ip로 진행할 수 있었음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Linux P2V/V2V 작업 간, VMware Converter 와 Guest OS 와의 호환성 문제 없음에도 불구하고
'Helper-VM did not boot up'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
이는 DST vCenter의 Helper-VM 내에 helper-vm.iso 파일이 자동으로 마운트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에러입니다.
해결법
* 컨버터 버전 6.4 필수
* C:\ProgramData\VMware\VMware vCenter Converter Standalone 경로의 converter-worker.xml 파일 수정
<UseHostIPForWebSocketTicket> 값을 false -> true 수정
* 수정 후 services.msc에서 Converter standalone Worker 재기동 해야함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P2V 할 때 주의사항 -> 소켓당 '코어 수'는 짝수로 맞추기. 예를 들어 TO-BE 리소스가 6CPU 일 경우 2소켓 3코어 보다 1소켓 6코어로 맞추기
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라이선스가 코어 수도 관련있을 수 있기 때문
-> 실제로 Linux P2V 후 서비스 기동 문제 발생했으나, 소켓당 코어 수를 짝수로 맞추고 재컨버팅하니 서비스 정상기동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Window P2V 후 Tools 깔았는데도 네트워크 어댑터가 미표시일 때
네트워크 / TCP IP 스택 리셋 후 리부트 -> https://kb.wisc.edu/dermatology/page.php?id=31480
netsh winsock reset
netsh int ip reset
ipconfig /release
ipconfig /renew
ipconfig /flushdns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'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2V 후 Redhat 7 error loading operating system (0) | 2024.04.01 |
---|---|
데이터스토어 마운트 해제 후에도 존재할 경우 (0) | 2024.03.25 |
vcenter 인증서 별도 교체 (0) | 2024.03.25 |
vmotion 실패 (host name error) (0) | 2024.03.25 |
vCLS 게스트 사용자 지정 오류 (0) | 2024.03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