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Mware 실습/ㄴ 3조 실습

4월 26일(3조 서버 가상화 6 - 지금까지 구성한 환경 복습)

깜자왕 2022. 4. 26. 17:39
반응형

VMware 환경 구축 작업

 

1. 조별, 개인별 IP List 정리

   3조 -> 192.168.18.180 ~ 189

            192.168.18.190 ~ 199

            192.168.18.200 ~ 209

   - ILO

   - 서버용 ESX

   개인별 - 내부 network : 10.100.10.0/24

   - NAT Server

   - AD-Master

   - Vcenter Server

   - Esx01, 02

   - Win10

 

2) HP 서버 초기화

   - ILO IP setting

   - Disk Raid 설정

      ssd - 2개 - raid 0 구성 - vcenter, storage

      HDD - 4개 - raid 0 구성 - 그 외 나머지

   - Esxi Host 설치

 

3) NAT 서버 설정 - 개인별

   2개 interface - 내부 network, 외부 network 인터페이스 설정

      - check 할 내용

         외부 ping test - 8.8.8.8

   - hdd에 생성

3-1) network 설정

   - switch, port group - 동일이름으로 작성

   - 보안 3개 허용

 

4) Win10 설치 - NAT 설정 후 외부로 ping 나가는지 인터넷 되는지 확인

   - hdd에 생성

 

5) AD Master 구성

   - Active Directory 설정

   - DNS 구성

      Domain name : rapa.edu.kr

      DNS 정방향 : host ip 설정

   - DHCP 구성 : 10.100.10.50 ~ 80 할당

   - hdd에 생성

 

6) Esx01, 02 설치

   - ip setting

   - esx-01-Win7 vm 생성

   - hdd에 생성

 

7) Vcenter 구성

   - FQDN : vcs.rapa.edu.kr

   - ssd에 생성

 

주의 : uefi 보안 관련

       esxi host 생성 시 - cpu 가상화 옵션


3조 IP 사용 현황

민희, 192.168.18.180~189
종원, 190~199
영환, 200~209

ILO : 192.168.18.180
Administrator/30724287

Esxi on Pyshical Server
:192.168.18.181
root/Pa$$w0rd

g/w : 192.168.18.1

Real Switch :
192.168.18.181 /telnet, ssh
Telnet : cisco/cisco
SSH : admin/cisco

Network on Virtual Switch
10.100.10.1 - NAT SERVER
10.100.10.10 - AD MASTER(DNS, DHCP, Active Directory)
10.100.10.20 - Esx01
10.100.10.21 - Esx02
10.100.10.30 - vcs
10.100.10.100 - Host(win10)

 

작업 순서 (win7 제외 VMware tools 설치 필요, 모든 가상시스템 방화벽 off)

1. ILO 구성

   -> IP 설정, Raid 0 구성 및 USB Booting 설정으로 Esxi Hypervisor 생성

 

2. Hypervisor 구성

   -> IP구성

 

3. 192.168.18.181 (hypervisor)에 win10, win2016-AD, win2016-NAT 생성

 

4. win2016-AD

   -> AD DS, DHCP, DNS 구성

 

AD DS

 

DHCP

 

DNS (DNS Manager에 static으로 등록함으로써 Manager 안에 등록한 주소를 10.100.10.10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)

   등록할 DNS

   ad-master   10.100.10.10

   hjw-ESX01   10.100.10.20

   hjw-ESX02   10.100.10.21

   hjw-vcs       10.100.10.30

   hjw-win10   10.100.10.100

 

 

5. win2016-NAT

Ethernet0 -> 192.168.18.0/24(public), Ethernet1 -> 10.100.10.0/24(private)

 

6. Esx01, 02 설치 및 설정

Esx01
Esx02

 

7. Esx01에 win7 생성하기

 

8. Win10 도메인 참가

-> 기타 사용자 : rapa.edu.kr\Administrator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Pa$$w0rd 입력 후 로그인

 

thin disk mode -> 씬 프로비저닝

-> Pa$$w0rd

 

9. vSphere 로그인 및 데이터베이스 생성 확인

-> ID : Administrator@vsphere.local

Password : Pa$$w0rd

-> 다루고자 하는 window가 올라간 하이퍼바이저의 주소를 등록해준다.

 

 

10. win10에서 vSphere - win7 확인하기

이제 win7을 맘대로 다룰 수 있다